상권's
문자열을 배열로 만들고, 배열을 문자열로 만들어 보자. 본문
str.split('구분 대상') '구분 대상'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 배열의 요소로 만들기.
str = 'hello, my name is sangkwonkim'
str.split(' ')
['hello,', 'my', 'name', 'is', 'sangkwonkim']
// 문자열의 ' '(공란)을 기준으로 나눠서 배열의 요소로 만든다.
str = 'name'
str1 = str.split('')
str1
['n', 'a', 'm', 'e']
// '' 사이에 공란을 주지 않을 경우, 모든 문자를 나눠서 배열의 요소로 만든다.
arr.join('구분 대상') 배열 요소들 사이에 '구분 대상'을 넣어서 문자열로 만들기.
str1 = ['n', 'a', 'm', 'e']
str1.join('')
'name'
// 배열 요소들 사이에 아무거도 넣지 않고 합친다.
str1.join(' ')
'n a m e'
// 배열 요소 사이에 공란(space)를 넣어서 합친다.
str1.join()
'n,a,m,e'
// 매개변수를 넣지 않을 경우 요소 사이에 ,를 넣어서 합친다.
str.split('구분 대상1').join('구분 대상2') 문자열 사이의 '구분 대상1'을 '구분 대상2'로 바꿔서 문자열로 만들기.
str = 'hello world'
str.split(' ').join(' ')
'hello world'
// 문자열의 ' '(공란)을 ' '(공란*2) 로 바꿔서 문자열을 출력.
str
'hello world'
※ split()과 join()을 사용하더라도 기존의 문자열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해서 사용할 수 있다.
'~2022 작성 글 >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추가, 삭제, 조회, 변경) (0) | 2021.09.30 |
---|---|
var, let, const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알아보자. (0) | 2021.09.30 |
문자열에서 원하는 문자 찾아보자. (0) | 2021.09.30 |
영어를 대문자, 소문자로 일괄 변경하자. (0) | 2021.09.30 |
String.substr, String.substring, String.slice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