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권's

TIL50 (aws)(2021.12.01) 본문

~2022 작성 글/TIL

TIL50 (aws)(2021.12.01)

라마치 2021. 12. 1. 17:19
decompression
문제
한 변의 길이가 2의 제곱수인 정사각형의 흑백 이미지가 2차원 배열로 주어집니다. 각 좌표에는 0(백) 또는 1(흑)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미지에 포함된 데이터가 모두 1이면 '1', 모두 0이면 '0' 한 글자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를 대문자 X로 표시하고 전체를 4등분하여 재귀적으로 압축합니다. 4등분한 영역의 순서는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하단입니다.
// 2의 배수로 절반씩 나눠질 수 있다.
// 재귀로 length가 1일때까지 나눈다.
// 그리고 값을 리턴해준다.
// 1과 0만 있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 X를 어떻게 추가해줄 수 있을까?

첫 수도코드 => 입력되는 image를 4등분을 하는 부분까지는 생각을 해봤는데, 숫자들을 합하거나 x로 표현하는 부분에서 구현을 완성시키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만 레프런스의 도움을 받았는데, 거의 다 완성하고 못한 거 같아 아쉬움이 컸습니다.

const decompression = function (image)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let makeResult = function (ys, ye, xs, xe, array) {
    if(ys === ye) return String(array[ys][xs])
  let midY = Math.floor((ys + ye) / 2)
  let midX = Math.floor((xs + xe) / 2)
  let leftUp = makeResult(ys, midY, xs, midX, array)
  let rightUp = makeResult(ys, midY, midX + 1, xe, array)
  let leftDown = makeResult(midY + 1, ye, xs, midX, array)
  let rightDown = makeResult(midY + 1, ye, midX + 1, xe, array)
  const result = leftUp + rightUp + leftDown + rightDown;
  if (result === '1111') return '1';
  else if (result === '0000') return '0';
  else return 'X' + result;
  }
  return makeResult(0, image.length - 1, 0, image.length - 1, image )
};

클라우드의 등장

 

온프레미스란, 출처

온프레미스(on-premise)는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 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전의" 또는 "전통적인"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이러한 온프레미스는 주기적인 관리와 공간의 한계라는 단점을 가졌습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서버 증설이 어렵게 되자 일부 거대 기업은 데이터센터라는 거대한 건물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부터 데이터센터의 유휴 자원을 대여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서버의 자원과 공간, 및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을 빌려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시작된 순간입니다.

 

최근의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존의 온프레미스 형식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필요할 때마다 컴퓨팅 능력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2. 고정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온프레미스와는 달리 사용한 만큼의 요금만 지불하면 됩니다.

3. 컴퓨터의 스냅샷("이미지"라고 부릅니다) 을 이용해 다른 컴퓨터로 즉시 이주(migration)가 가능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출처

클라우드 컴퓨팅의 세 가지 주요 유형에는 Infrastructure as a Service, Platform as a Service, Software as a Service가 있습니다. 각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은 다양한 수준의 제어, 유연성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필요에 맞는 서비스 세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Infrastructure as a Service(IaaS)

IaaS에는 클라우드 IT를 위한 기본 빌딩 블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킹 기능, 컴퓨터(가상 또는 전용 하드웨어) 및 데이터 스토리지 공간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IaaS는 IT 리소스에 대한 최고 수준의 유연성과 관리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많은 IT 부서 및 개발자에게 익숙한 기존 IT 리소스와 가장 유사합니다. 

Platform as a Service(PaaS)

PaaS를 사용하면 기본 인프라(일반적으로 하드웨어와 운영 체제)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리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즉,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리소스 구매, 용량 계획,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 패치 작업 또는 다른 모든 획일적인 작업에 대한 부담 없이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Software as a Service(SaaS)

SaaS는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실행되고 관리되는 완전한 제품을 제공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SaaS라고 하면 웹 기반 이메일과 같은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SaaS 오퍼링의 경우 서비스를 유지 관리하는 방법이나 기본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특정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사용할지만 생각하면 됩니다. 


배포란?

개발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기본적으로 Development, Integration, Staging, Production 단계를 거쳐 배포하게 됩니다.

Development단계는 각자의 컴퓨터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 하는 과정입니다. 개발단계이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더미데이터를 이용해서 테스트합니다.

 

Integration단계에서는 각자의 컴퓨터에서 작성한 코드를 합치는 과정입니다. 내가 작성한 코드가 다른 코드를 침범해서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지, 코드간에 conflict가 있지는 않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Staging단계에서는 실제 출시단계인 Production단계와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실제 데이터를 복사해서 문제가 있지 않은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또한 서비스와 관련된 부서 혹은 인원의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예를 들면 작성된 코드가 마케팅팀 혹은 디자인팀 예상했던 결과인지에 확인을 거치는 과정입니다.

 

Production단계에서는 개발된 서비스를 출시하는 단계입니다.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Production환경에서 코드를 구동하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서비스가 운영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안되는 단계입니다.

 

Development 환경과 Production 환경은 서로 다를 수가 있습니다.

 

배포에서는, 환경의 차이를 이해하고 환경 설정을 코드와 분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C2란? 출처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개발자가 더 쉽게 웹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Amazon EC2의 간단한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편하게 필요한 용량을 얻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포괄적인 제어권을 제공하며, Amazon의 검증된 컴퓨팅 인프라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프로세서, 스토리지, 네트워킹, 운영 체제, 구매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폭넓고 세분화된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EC2 서비스의 장점 중 첫 번째는 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짧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AMI를 통해서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운영체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EC2에서는 AMI라는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뿐만이 아니라 CPU와 RAM, 용량까지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AMI는 소프트웨어 구성이 기재된 템플릿입니다. 이미지 종류로는 단순히 운영체제(윈도우, 우분투 리눅스 등)만 깔려있는 템플릿을 선택할 수도 있고, 아예 특정 런타임이 설치되어있는 템플릿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분투 + node.js, 윈도우 + JVM 등)

 

 


RDS란?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해서 자동으로 관리를 담당하는 부분이 매우 적기에, 사용자가 일일이 시간을 투자하여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설치와 버전 관리, 데이터 백업을 해야 합니다. 게다가 가용성과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기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확률이 커지며, 후에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를 확장하기 어렵습니다.

 

RDS를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유지보수와 관련된 일들을 RDS에서 전적으로 자동 관리합니다. 사용자가 해야할 일은 초기 설정을 제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밖에 없기에 큰 편의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S3란?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S3 사용 시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높은 확장성이 있습니다. 확장성이 높으면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스토리지 규모를 확장/축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S3에서는 스토리지의 용량을 무한히 확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입니다.

 

다음은 스토리지의 내구성이 높으면 저장된 파일을 유실할 가능성이 적어집니다. S3는 99.999999999%의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용성이 높으면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들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S3는 연간 99.99%의 스토리지 가용성을 보장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S3는 다양한 스토리지클래스를 제공합니다. 저장소를 어떤 목적으로 활용할지에 따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스토리지 클래스가 달라집니다. S3 사용자들이 대표적으로 많이 선택하는 스토리지 클래스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Standard 클래스는 범용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데이터에 빠른 속도로 접근할 수 있고, 데이터 액세스 요청에 대한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대신 데이터를 오래 보관하는 목적으로는 효율적인 선택지가 아닙니다. 보관 비용이 높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Glacier클래스 입니다. 비록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Standard-IA, One Zone-IA, S3 Glacier Deep Archive 등등 여러 가지 스토리지 클래스가 존재하여 사용자의 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S3 사용 시 얻는 이점 중 하나로,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이 가능합니다.

 

정적 파일은 서버의 개입 없이 생성된 파일을 뜻합니다. 반대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요청에 맞추어 그 자리에서 생성한 파일을 '동적' 파일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웹 호스팅이란,

서버의 한 공간을 임대해주는 서비스를 뜻합니다.

S3에서는 버킷이 사용자들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버킷이라는 저장 공간에 정적 파일을 업로드하고 버킷을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용도로 구성하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버킷이란,

S3에 저장되는 파일들이 담기는 바구니입니다.

파일을 저장하는 최상위 디렉터리라고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S3에서 저장되는 모든 파일은 버킷 안에 저장되어야 하고, 버킷에는 무한한 양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버킷은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버킷의 이름은 버킷이 속해 있는 리전(버킷이 생성된 지역)에서 유일해야 합니다. 또한 버킷 정책을 생성하여 해당 버킷에 대한 다른 유저의 접근 권한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S3에서 버킷에 담기는 파일을 객체라고 부릅니다.

S3에 저장되는 객체는 파일과 메타데이터로 구성됩니다.

 

파일은 키-값 페어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파일의 값에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S3 객체의 값으로써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크기는 5TB입니다.

 

파일의 키는 각각의 객체를 고유하게 만들어주는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파일의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객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는 객체의 생성일, 크기, 유형과 같은 객체에 대한 정보가 담긴 데이터입니다.

모든 객체는 고유한 URL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URL 주소는 http://[버킷의 이름].S3.amazonaws.com/[객체의 키]의 형태를 띠고, URL 주소를 통해서도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M2란,

프로세스 매니저(Process Manage)로, node.js로 실행되는 프로그램(프로세스)를 관리해주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단순히 백그라운드 실행뿐만 아니라 위의 사진처럼, 다양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중 Hot Reload와 같이 프로그램이 변경될 때 자동으로 재시작하게 도와준다거나, 프로그램 실행 중 에러가 나서 서버가 종료되면, 다시 자동으로 실행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서버 운영에서는 필수라고 할 수 있는 로그 관리를 좀 더 전문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모드와 같이 멀티코어 CPU를 최대한 활용하는 옵션도 있습니다.

 

설치

npm install pm2 -g

기타 명령어

"pm2 start" 프로세스 시작
"pm2 stop" 프로세스 중지
"pm2 restart"  프로세스 재시작
"pm2 ls"   프로세스 목록 보기
"pm2 log" 프로세스 로그 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