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2 작성 글/Code States 회고 (18)
상권's
이번 한 주는 http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학습을 했으며, Git branch, AWS, Docker의 전반적인 학습을 했습니다. 앞 선 과제를 진행할 때 http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았는데 자세하게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반면 Git branch, AWS, Docker는 기본적인 이론은 이해를 했지만 실제로 활용하는 부분이 쉽지 않아 추가적인 학습이 많이 요구됩니다. advanced도 최대한 진행을 하려고 하고, 공식문서도 자세하게 읽어보려고 노력을 하는데 역시 처음 학습할 때는 쉽지 않은 거 같습니다. 백엔드로 취업을 할 예정이니 그만큼 더 열심히 학습해야겠습니다. 섹션 3를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거 같은데 벌써 HA가 다가왔습니다. 섹션 1 때는 한 달이 길게 느껴졌고, 섹션 2는 재..
이번 주는 인증/보안 부분 학습으로 session, cookie, token, OAuth, axios, 컴퓨터공학 기초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월~수 동안 하루씩 session, token, OAuth과제를 진행했습니다. 강의와 공식문서를 통해서 학습해서 직접 구현했습니다. 매번 느끼는 거지만 공식문서를 제대로 이해를 하질 못해서 구현하지 못했던 부분에서 아쉬웠습니다. 에러를 확인하고 공식문서를 다시 읽으면서 학습을 해서 제대로 이해하니 다행스럽기도 하지만, 빈도가 줄어들긴 해도 이런 실수가 나오니 아쉬움이 큽니다. 낯선 단어가 나오면 일단 이런 게 있구나 라는 생각으로 읽어보는 데, 어떻게 하면 낯선 단어가 나오더라도 잘 학습할 수 있을 지 고민해봐야겠습니다. 섹션3가 끝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이..
이번 한 주는 지난 주에 학습했던 SQL로 과제를 진행했고, sequelize, MVC 패턴, ORM, MongoDB 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SQL 을 이용해서 원하는 정보를 찾고, 수정하고, 삽입하는 게 처음에는 쉬웠지만, 과제를 진행하면서 원하는 정보가 까다로워지니 JOIN 부분이 쉽지 않았습니다. MVC는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학습하는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가장 어려웠던 건 sequelize 를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 다행스럽게 sprint hour을 통해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boiler-plate를 할 때, MongoDB에서 데이터를 찾고, 수정하는 부분을 학습해서 자신있었지만, 데이터베이스에 조금 더 깊게 들어가니 복잡해져서 자신감은 다시 숨어들었습니다. 학..
한 주가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 지 섹션 2 HA 회고를 쓸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HA에 이후 시간에 여유가 있어서 푹 쉬어서 그런지 이번 주는 유난히 피곤한 한 주였습니다. 이번 주는 리눅스 사용 권한, 환경 변수, 코딩 테스트 준비(시간 복잡도, 순열/조합, GCD/LCM, DP 등등), 데이터베이스 기초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리눅스 학습할 때 dotenv에 대해서 이해는 했지만 어떻게 사용하는 지 감이 잡히질 않았는데,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면서 실제로 사용해보고 이해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도 일과 시간 이후에 조금씩 학습했던 게 있어서인지 낯설지 않고 쉽게 이해했습니다. 코딩 테스트 학습은 알고리즘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 만큼 실력이 늘었다라는 걸 느꼈습니다. DP를 제외하..
11월 5 ~ 6일동안 진행되었던 HA를 통해서 섹션 2가 정말로 끝이났습니다. 추석 직후에 섹션 1 HA를 했었는데, 어느새 날씨는 추워졌고 11월이 시작되었습니다. 퇴사한 지도 벌써 5개월째에 접어들었습니다. 빠르게 지나갔던 시간들을 되돌아보니 참 많은 것들이 변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하나도 몰랐고, 알고리즘 문제를 직면하면 한 숨부터 나왔던 제가 어느 샌가 어려운 알고리즘 문제에 흥미를 가지기 시작했고, 다음에 학습할 것에 두근거림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섹션 2를 통해서 재귀, 자료구조, 비동기, HTTP/네트워크, 서버, 컴포넌트 디자인을 학습했습니다. 섹션 2에서 제일 흥미로웠던 건 HTTP/네트워크, 서버였습니다. 반면 제일 어려웠던 과정은 컴포넌트 디자인입니다. 스토리북을 이용해서 컴포넌트..
이번 한 주는 node server 구현에 이어서 노드js 미들웨어를 활용해서 statesAirline으로 비행기 조회, 예약, 변경, css 개발론, styled-component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서버 개발은 흥미가 있어서 너무 즐겁게 학습을 했지만, css 관련 학습은 개인적으로 너무 힘들었습니다. 백엔드를 희망하고 있지만, css에 대해서도 학습을 해본만큼 어느정도 구현할 수 있도록 시간을 투자해서 학습을 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토이 문제는 대게 수도 코드 작성이나 구현이 잘 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이라는 도서를 이용해서 알고리즘에 대해서 학습도 하고, 스터디를 통해서 토이나 자료구조에서 복습하니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토이 문제는 40분 정도 혼자 고민을 하고 이..
이번 한 주에는 http, rest api, postman, Effect hook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http response, request의 경우 이론은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었고, post man, Effect hook도 예습을 해서 진행하는 데에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근데 http response, request 활용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서버에서 정보를 받아서 클라이언트에서 정보를 필터링 하는 statesAirline의 경우 큰 어려움 없이 진행이 되었지만, 오늘 진행했던 request를 받고 response를 주는 서버 측면을 구현하는 것은 공식 문서를 읽어도 아직 익숙하지 않은 단어가 많아서인지 더디게 진행되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페어의 도움을 받아서 공식문서 부분을 통해..
이번 한 주는 자료구조 고차함수리뷰, 비동기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자료구조 자체에 대해서는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준비하면서 학습했던 게 있어 쉽게 이해를 했지만, 이걸 코드로 구현하는 게 참 어려웠습니다. 기본적으로 구현하는 거는 쉬웠던 거 같은데, 이걸 활용해서 프린터나 다른 코플릿을 풀 때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고차함수는 직접 함수를 생성해보면서 복습할 수 있었습니다. 코드스테이츠에서 제공되는 레프런스를 보면서 예외 사항에 대한 처리나, 함수를 리턴할 때 해당 함수의 사용 방법을 정확하게 안다면 코드가 더 깔끔해질 수 있다는 걸 느끼면서 함수 자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활용능력을 길러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비동기의 경우, 이해도 나름 잘 되었지만 저의 현 상태에 대해 크게 부족함을 깨달을 수..